우리가 만나는 사람들 가운데에는 아무리 거리를 두려고 노력해도 무례하게 우리의 영역을 침범해 들어오는 이들이 있다. 그들은 상대가 자기 욕구를 들어 줄 때만 호의를 베풀고, 그들에 대한 상대의 요청은 여러 가지 핑계를 대며 묵살한다.

 

그들의 요구사항은 늘 존중받아야 마땅한 취향이자 누려야 할 권리이지만, 상대방의 요구사항은 부당하고 비합리적인 요청에 불과하며 자기와는 전혀 관계없는 문제일 뿐이다.

 

그런데 그 논리가 어찌나 교묘한지, 듣는 이조차 그 사람이 이기주의자인지 개인주의자인지 헷갈릴 지경이다. 그들은 바로 나르시시스트들이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나르키소스는 어느 날 호수에 비친 자기 모습을 발견하고는 사랑에 빠져 먹는 것도 자는 것도 잊은 채 호숫가를 배회하다 죽임에 이른 청년이다.

 

훗날 프로이트는 나르키소스 신화에서 착안하여, 모든 리비도가 자신에만 향하는 심리적 상태를 나르시시즘이라고 불렀고, 그런 사람들을 나르시시스트라고 명명했다.

 

나르시시스트는 나르키소스처럼 오직 자기만을 바라볼 뿐 타인은 전혀 보지 못한다. 그들은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거나 공감하지 못할뿐더러, 타인을 기능적으로만 인식한다.

 

즉 타인이란 자기의 위대함을 칭찬해 주고, 자기를 좋아해 주고 받아들여 주는 관중일 뿐이다. 이처럼 모든 관심이 자기 자신과 자기 이익에만 꽂혀 있기에 그들은 그 누구와도 이원적인 관계를 만들어 가지 못한다.

 

인간관계는 상호 호혜적이고 상호 의존적인데 나밖에 없는 그들이 어떻게 이런 관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까. 같은 이유로 나르시시스트들은 아무리 살갑더라도 진정한 친밀함을 만들어 나가기 힘들다.

 

이처럼 겉으로만 친밀한 모습을 보이는 것을 두고 가성 친밀감(pseudo-intimacy)이라고 한다.

--한성희의 [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 중에서!!

▼▼

https://bitl.bz/9R9w5h

 

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10만 부 기념 스페셜 에디션)

 

deg.kr

어린 시절 희생양 역할을 했던 자녀가 성인이 되어서 독립을 하면 희생양 역할은 끝난 걸까요? 어쩌면 어린 시절에 그랬던 것과 달리 역할이 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성인이 되어 원가족을 떠난다고 해서 희생양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가족희생양의 메커니즘은 다른 방식으로 반복될 수 있습니다.

 

자신도 모르게 부부 관계에서 오는 긴장과 갈등, 또는 가족 관계에서 오는 긴장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녀들을 또 다른 희생양으로 차출할 수도 있습니다. 가족희생양의 패턴이 다음 세대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죠.

 

희생양의 역할을 했던 분들은 그저 과거의 일로 그치는 것이 아닙니다. 어쩌면 현재진행형으로 그 역할을 다른 누군가에게 떠안기고 있을 수 있습니다.

--최광현의 [관계의 심리학] 중에서!!

▼▼

https://bitl.bz/cV5Txo

 

[21세기북스] 사람이 힘겨운 당신을 위한 관계의 심리학

 

deg.kr

https://app.ac/lAMh31563

 

심리학이 이렇게 쓸모 있을 줄이야 - YES24

실생활 심리학으로 그와 그녀와 세상을 내 뜻대로 끌어오라심리학은 새로운 문을 열어 진정한 나 자신을 만나게 하고 발전시켜주는 열쇠다. 사회생활을 하는 데에서 감정적으로 안정과 균형감

www.yes24.com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 커미션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LIST

펑키 스타일의 아이콘 비비안 웨스트우드는 서른 살이 되던 무렵 선망의 직업인 교사를 그만두고 디자이너로서의 삶을 선택했다. 미술이나 디자인을 배운 적이 없는 터라 그녀의 선택을 두고 주변 사람들은 모두 쓸데없는 짓이라며 말렸다는구나.

 

그러나 지금 그녀는 엘리자베스 여왕에게 대영제국훈장까지 받아 패션계의 정점에 서 있다. 비비안 웨스트우드가 결과적으로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디자이너가 되었기 때문에 그녀의 선택이 옳았다는 말이 아니다.

 

만약 그녀가 디자이너로 성공하지 못했더라도, 그래서 다시 교사로 돌아갔더라도 디자이너로 활동한 경험은 그녀의 인생에서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것으로 남았을 거야. 꼭 해 보고 싶던 일을 했고, 그 과정에서 누구보다 즐거웠으니 말이다. 최소한 인생에서 재밌게 누릴 수 있는 일을 하나 찾은 거니까.

 

그녀가 만약 디자이너가 되고 싶다고 생각하면서도 혹시 괜히 시간만 낭비하게 되면 어쩌나, 교사직을 포기하고 선택한 길인데 후회하면 어쩌나 하면서 시도해 보지 않았다면 결코 얻을 수 없었던 결과다.

--한성희의 [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 중에서!!

▼▼

https://bitl.bz/9R9w5h

 

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10만 부 기념 스페셜 에디션)

 

deg.kr

프로이트는 사랑을 나르시시즘(narcissism)’이라고 표현했습니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내가 한 사람을 사랑하는 건 그 사람을 온전히 사랑하는 게 아닙니다. 그 사람 속에 있는 나를 사랑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연애를 하거나 누군가에게 호감을 느낄 때 보면 나와 전혀 다른 사람에게 호감을 느끼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 사람에게서 익숙함을 발견하면 이상하게 그게 편합니다.

 

이것은 그 사람이 지낸 가정환경과도 연결됩니다. 미소와 유머, 관대함이 있는 가정에서 자란 사람은 그런 분위기를 연출하는 이성에게 끌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끝없이 갈등하며 서로에 대한 분노와 애증으로 하루하루를 보내는 가정에서 자란 사람 또한 그런 감정을 유발하는 이성에게 마음이 끌립니다.

 

그토록 싫었던 아버지, 그토록 벗어나고 싶었던 어머니 같은 사람을 배우자로 선택하게 됩니다. 보웬에 의하면 이런 딜레마는 부부 모두에게 나타납니다. 보웬이 말한 자아분화라는 개념은 개인적인 능력이 아니라 내가 속한 가족 전체와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자아분화가 비슷한 사람끼리 만나서 결혼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것입니다. 물론,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부부가 서로 비슷한 자아분화를 가질 가능성은 높습니다.

 

남편과 아내는 가족이라는 집의 건축가입니다. 두 사람이 어떻게 건축하느냐에 따라서 집의 모양은 바뀝니다. 건축의 출발은 바로 설계이지 않습니까? 건축하기 전에 반드시 설계도를 그려야 하죠. 아내와 남편은 그 설계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부부의 자아분화가 결국 가족관계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죠. 그러다 보니 낮은 자아분화를 가진 부모 밑에서 성장한 자녀는 결과적으로 부모처럼 낮은 자아분화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것이 세대 전수의 개념입니다. 정리하자면 이런 역기능을 가진 가족은 그 문제와 갈등을 이미 이전 세대에서 전수받았다는 것이죠.

--최광현의 [관계의 심리학] 중에서!!

▼▼

https://bitl.bz/cV5Txo

 

[21세기북스] 사람이 힘겨운 당신을 위한 관계의 심리학

 

deg.kr

https://app.ac/lAMh31563

 

심리학이 이렇게 쓸모 있을 줄이야 - YES24

실생활 심리학으로 그와 그녀와 세상을 내 뜻대로 끌어오라심리학은 새로운 문을 열어 진정한 나 자신을 만나게 하고 발전시켜주는 열쇠다. 사회생활을 하는 데에서 감정적으로 안정과 균형감

www.yes24.com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 커미션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