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은 내면의 아이가 아프다고 보내는 신호다. 기쁠 때도 울지만 슬플 때 더 많은 눈물이 나는 것은 상실감에서 오는 아픔 때문이다. 애도는 상실에 대한 심리적 반응으로, 병적인 슬픔과는 다른 정상적인 슬픔이다.

 

그리고 애도 과정이란 상실된 대상을 찾으려고 하는 노력이다. 상실한 대상을 계속 마음속에 간직함으로써 그 대상과의 관계를 유지하려는 회복의 과정이기도 하다.

 

만약 이러한 애도 과정을 생략하면 어떻게 될까? 프로이트는 애도를 충분히 하지 않으면 우울증이 발생한다고 했다. 흔히 우울증을 마음의 감기라고 하는데 자아의 감기라고도 말하고 싶다.

 

감기에 걸린 자아는 온통 자신을 깎아내리는 일에만 열중한다. 슬픔에 빠진 자신을 위로하기는커녕 자책과 죄책감으로 자신을 갉아먹는다.

 

애도의 눈물을 흘려야 하는 날들이 있다. 그때마다 나는 파울로 코엘료가 쓴 [흐르는 강물처럼]에 나오는 구절을 떠올린다.

 

언제나 강한 척할 필요는 없고, 시종일관 모든 것이 잘 돌아가고 있음을 증명할 필요도 없다. 다른 이들이 뭐라고 하건 신경 쓰지 않으면 그뿐. 필요하면 울어라, 눈물샘이 다 마를 때까지.”

--한성희의 [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 중에서!!

▼▼

https://bitl.bz/9R9w5h

 

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10만 부 기념 스페셜 에디션)

 

deg.kr

우리에게는 관계를 움직이는 두 가지 힘이 있습니다. 하나는 연합성입니다. 그 사람과 연합하고 싶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싶은 것이죠. 다른 하나는 개별성입니다. 그 사람과 가까이 붙는 게 너무 싫어서 적당히 거리를 두고, 경계를 두고 싶어 합니다.

 

이 둘은 서로 딜레마입니다. 하나는 가까이 다가가고 싶고, 또 하나는 좀 거리를 두고 싶은 거죠. 그런데 우리는 이것들을 동시에 추구하는 거예요. 누군가와 친해질 때 두려운 것은 그 사람과 너무 가까워지는 것입니다. 반면 또 너무 떨어지는 것도 두려운 것이죠.

 

결국 서로 모순된 욕구 사이에서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사람이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데, 그 균형을 이루는 내면의 힘이 바로 보웬이 말한 자아분화입니다.

 

그러면 자아분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요? 그 답은 부모에 있습니다. 자아분화가 높은 부모 밑에서 성장한 자녀는 자아분화가 그만큼 높습니다. 반면에 자아분화가 낮고 자존감이 낮은 부모 밑에서 성장한 자녀는 부모처럼 낮은 자아분화를 갖습니다.

 

즉 정서적 에너지와 삶의 모든 것들은 결국 스스로 만들고 개척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와의 상호관계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한 번 따져보아야 하는 것입니다.

 

자녀가 부모에게서 서서히 벗어나며 자기 목소리와 생각을 가진 한 성인으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것이 독립성과 자율성입니다. 이때 주위의 정서적 압력에도 굴하지 않는, 독립적이고 융통성 있으면서 일관성 있는 자아를 진아(眞我)’라고 하는데요.

자아분화가 잘 이루어지지 못한 사람은 진아를 형성하지 못합니다. 그 대신 거짓자아를 형성하게 됩니다. 거짓자아란 타인의 정서적 압력에 의해 쉽게 변하는 자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어머니에게 칭찬받고 싶고, 혼나고 싶지 않은 마음에 내가 가진 욕구를 억압합니다. 그리고 어머니가 원하는, 오직 주변 사람들이 원하는 모습만을 연출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보웬은 거짓자아를 형성한 이런 사람은 독립성과 융통성을 상실하게 된다고 말합니다.

 

분화란 감정을 이성적 체계 위에서 얼마나 잘 통제하고 조정할 수 있는가를 설명한다고 했죠? 여기서 분화가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의 가장 기본적인 차이는 바로 불안에 대한 대응 능력입니다. 즉 자아분화가 높다는 건 그만큼 자기 내면의 부정적인 감정들을 잘 통제하고 지배할 수 있다는 걸 의미합니다.

 

자아분화가 잘 형성되지 않는 사람들은 대부분 감정적으로 반응합니다. 감정반사적이에요. 문제에 직면해서 그것을 심사숙고하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한 번 더 생각하기보다는 바로 충동적으로 반응합니다. 그러다 보니 언제나 실수를 저지르고, 충분히 대화로 끝날 수 있는 일이 잘못된 행동으로까지 이어지고, 더 심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럴수록 더 불안을 느끼고 더 충동적이고 예측이 어려운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늘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면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사회적 존재입니다. 그런데 타인과 관계를 맺을 때 좋은 출발은 내가 나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입니다.

 

자기 자신과의 관계도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 사람이 타인과 훌륭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기는 굉장히 어렵습니다. 대인관계가 원만하다고 해도 늘 눈치를 보고 쭈뼛대거나 자신이 맺은 관계임에도 자기 자신이 없는 그런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죠.

--최광현의 [관계의 심리학] 중에서!!

▼▼

https://bitl.bz/cV5Txo

 

[21세기북스] 사람이 힘겨운 당신을 위한 관계의 심리학

 

deg.kr

https://app.ac/lAMh31563

 

심리학이 이렇게 쓸모 있을 줄이야 - YES24

실생활 심리학으로 그와 그녀와 세상을 내 뜻대로 끌어오라심리학은 새로운 문을 열어 진정한 나 자신을 만나게 하고 발전시켜주는 열쇠다. 사회생활을 하는 데에서 감정적으로 안정과 균형감

www.yes24.com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 커미션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