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는 미래에 대한 관점을 따른다. 그 관점의 핵심은 리스크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있다.

 

흔히 리스크가 크면 손실이나 이익도 크고, 리스크가 작으면 손실이나 이익도 적다고 이해하는데 이건 수학의 가장 기초적인 공식, 덧셈이나 곱셈을 이해하는 것과 같다. 수학에도 곱하면 오히려 작아지는 답이 있듯 리스크도 복잡한 여러 경우의 수가 있다.

 

리스크가 증가하면 이익에 대한 불확실성도 증가하고 손실 가능성도 증가한다는 의미다. 보통 변동성이 큰 시장이 리스크가 크다고 생각하지만 변동성에 따라 기대수익이 달라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사실 리스크가 크다고 알려진 것 자체가 리스크를 줄여놓은 상태라는 걸 알아차리는 사람이 별로 없다. 흔히 주식시장에서는 돈을 버는 활황기에는 리스크가 없는 것처럼 보이고, 주가 폭락기에는 리스크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생각한다.

 

폭락장에서 얼마나 깊고 오래 손해가 발생할지 모르니 그 리스크가 너무 커 보여 아무도 주식을 사지 않아 급락한 것이다. 사실은 그 시기가 리스크가 가장 줄어 있는 때다.

 

상승장처럼 아무도 리스크를 겁내지 않을 때가 리스크가 가장 큰 경우도 있다. 오히려 리스크가 사라진 것처럼 보이는 상승장이 가장 리스크가 크다. 거품이 생기는 유일한 지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스크를 정확히 꿰뚫어볼 수 있는 눈을 가져야 한다.

 

워런 버핏의 유명한 말이 있다.

남들이 욕심을 낼 때 두려워하고, 남들이 두려워할 때 욕심을 내야 한다.”

 

워런 버핏은 모두가 두려워하는 지점을 리스크가 줄어든 상태로 본 것이다. 결국 나쁜 상황은 나쁜 상태가 아니다. 오히려 할인된 가격에 자산 구매 기회를 주니, 리스크가 줄어든 시점이 된다.

 

리스크가 무서워 아무도 매입하지 않는 순간이 리스크가 가장 적은 순간이 되는 것이다.

 

욕심은 리스크를 낳는다. 이 욕심이 대중에게 옮겨 붙으면 낙관이라는 거품이 만들어진다. 거품은 폭락을 낳는다. 그러나 자포자기하고 두려움에 떠는 시기가 오면 봄이 오고 해가 뜬다.

 

이건 굳이 통계나 패턴으로 증명하지 않아도 인문학적인 지식으로 알 수 있다. 모든 욕심의 끝은 몰락을 품고 있다. 그리고 모든 절망은 희망을 품고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김승호의 [돈의 속성] 중에서!!

▼▼

https://bitl.bz/8jAoyh

 

돈의 속성 300쇄 리커버 (양장)

 

deg.kr

#김승호 #돈의속성 #리스크가클때가리스크가가장작을때다 #리스크관리

▼▼

https://bitl.bz/zYf2qy

 

하상욱 시집 (전4권) 시로 + 시밤 + 서울 시 + 서울 시2 (전4권)

 

deg.kr

  ♣2019년 4월에 불탄 유럽의 명소는? 

(1) 파르테논 신전

(2) 콜로세움

(3) 노트르담 성당

(4) 바티칸

 

--도나 호크의 [알아두면 쓸 데 있는 잡학퀴즈] 중에서!!

▼▼

https://bitl.bz/UZci6r

 

알아두면 쓸데 있는 신 잡학퀴즈

 

deg.kr

 

[미래의창] 트렌드 코리아 2023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23 전망

 

deg.kr

LIST

중력은 현대 물리학의 상호작용 힘 중 하나다. 뉴턴(Issac Newton)에 따르면 중력은 질량을 가진 모든 물체에 작용한다’. 중력은 질량을 가진 물체가 다른 질량을 가진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말하는데 그 힘의 크기는 각 물체의 질량에 비례해 가까운 곳에 있는 물체를 잡아당기며 매우 먼 거리까지 미친다.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해 멀어질수록 힘이 약해지기는 하지만, 먼 거리에서도 여전히 작용한다.

 

신기한 건 돈도 이 중력과 같은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돈은 다른 돈에게 영향을 주며 그 돈의 액수가 크면 클수록 다른 돈에 영향을 준다. 돈은 가까이 있는 돈을 잡아당기는 능력이 있으며 주변 돈에 영향을 준다.

 

돈이 중력과 같이 작용하는 원리를 잘 이용하면 누구나 아무리 작은 돈이라도 큰돈으로 만들 수 있다.

 

누군가가 10억 원이라는 돈을 모으기로 마음먹었다고 하자. 먼저 10억 원을 모으기 위해서는 1억 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1억 원을 모으기 위해서는 1,000만 원이 필요하다. 1,000만 원은 매월 100만 원 혹은 그 이상을 저축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1년을 잘 모아서 1,000만 원을 모았다고 가정하자. 1,000만 원을 모으기 위한 노력을 100으로 가정하자. 다음 1,000만 원을 모으기 위해 들이는 노력은 처음 1,000만 원을 모으기 위해 들어간 노력 100보다 낮아진다.

 

왜냐하면 이미 처음 만들어놓은 1,000만 원이 이자나 투자를 통해 자체 자본을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처음 1,000만 원은 내 노동과 시간으로 오롯이 나 혼자 이루었지만, 1,000만 원이 스스로 일을 해서 나를 돕고 있기에 둘이 함께 일을 하는 셈이다. , 나와 자본이 다른 자본을 만들기 위해 함께 일하고 있는 것이다.

 

재산 증식 과정을 보면 1,2,3,4,5처럼 양의 정수(자연수)로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1,2,4,8,16과 같이 배수로 늘어난다. 이 원리를 이해하면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다. 온 우주에 중력의 힘이 미치고 있듯 중력은 우주의 근본적 힘이며 세상을 만드는 원리 중 하나다.

 

이 원리는 무엇인가 불어나는 모든 것에 적용된다. 단지 돈은 물체가 아니기에 그것을 모으겠다는 사람 그 자신의 마음을 필요로 할 뿐이다.

--김승호의 [돈의 속성] 중에서!!

▼▼

https://bitl.bz/8jAoyh

 

돈의 속성 300쇄 리커버 (양장)

 

deg.kr

 #김승호 #돈의속성 #뉴턴의중력법칙 #돈을잡아당기는능력 #복리효과 #재산증식과정

♣2018년, 12명의 소년과 소년들을 지도하던 축구팀 감독은 침수된 동굴에 갇힌 지 12일 만에 구조되었다. 이 동굴은 어느 나라에 있을까요?

 

(1) 말레이시아

(2) 인도

(3) 싱가포르

(4) 태국

 

--도나 호크의 [알아두면 쓸 데 있는 잡학퀴즈] 중에서!!

▼▼

https://bitl.bz/UZci6r

 

알아두면 쓸데 있는 신 잡학퀴즈

 

deg.kr

▼▼

https://bitl.bz/aBRKng

 

[미래의창] 트렌드 코리아 2023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23 전망

 

deg.kr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