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이 넘어서 데뷔한 이래 100편이 넘는 작품을 남긴 () 박완서 선생이 말했다.

인생은 과정의 연속일 뿐 결말이 있는 게 아닙니다.”

 

박완서 선생은 인생을 등산에 비유했다. 힘겨운 오르막길은 길고 산의 정상에서 맛보는 환희의 순간은 지극히 짧은데, 그게 만약 인생이라면 산을 오르는 과정에서 행복을 찾아야 하지 않겠느냐고.

 

실제로도 선생은 글이 써지지 않을 때에도 군사분계선을 지키는 보초병보다 더 끈질기게 원고를 붙잡고 있었다. 과정을 즐기지 못했다면 절대로 견뎌 낼 수 없는 순간의 연속이었음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흔히 삽질이라고 하면 이곳저곳 파다 그만두는 걸 떠올리지만 사실은 그 과정 자체에 지향점이 있다. 하지만 우리는 쓸데없어 보이는 일에 매우 인색하다. 직업이든 취미든 어떤 일을 시작했으면 노력한 만큼 반드시 결과가 뒤따라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냥 한번 해보는 일에 쉽게 도전하지 못한다. 몇십 년 전만 해도 청춘의 객기라는 말이 통했고, 모험이야말로 젊은이들의 특권이라도 여겼지만 지금은 사정이 달라졌다고들 하는구나.

 

플랜 A가 실패하면 플랜 B를 시도할 수 없는 세상이라고 말이다. 그럴수록 시행착오가 적은 길, 남들이 이미 검증해 놓은 길을 택하는 게 안전하다고 여기게 된다.

 

해 보고 싶은 일을 한번 해 보는 경험이 당장의 과업에 도움이 되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무언가를 시도해 본 경험, 그 씨앗이 뒤늦게 마흔 살이 넘고 쉰이 지나서야 꽃을 피울 수도 있다.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진 요즘, 마흔 중반에 이르러 은퇴를 고민하는 사람들과 자주 마주하게 된다. 그들은 대부분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다고 말한다.

 

만약 그들이 젊은 시절에 어떤 씨앗을 어디에 심을지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해보고, 엉뚱한 곳에 삽질이라도 해 봤다면 어땠을까? 씨앗 하나 심을 만한 작은 웅덩이라도 파 놓았다면 어땠을까?

 

설사 퇴직을 앞두고 있어도 인생 2막에 심어야 할 씨앗 정도는 알고 있지 않았을까? 그러면 적어도 이제는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살려고요라는 말을 자신 있게 하지 않았을까?

 

일본의 정신과의사인 사이토 시케타가 말했다.

많이 넘어져 본 사람일수록 쉽게 일어선다. 반대로 넘어지지 않는 방법만을 배우면 결국에 일어서는 방법을 모르게 된다.”

 

삽질의 부재가 주는 가장 큰 폐해가 뭘까? 삽질로 각종 유기물이 자라는 환경을 만들어 본 적이 없는 이는 나이가 들어서도 삽 뜨는 법조차 모른다. 삽질의 부재는 경험의 부재이며, 경험의 부재는 그 사람 능력의 크기를 제한해서 설사 포클레인이 바로 옆에 있어도 절대로 웅덩이를 팔 수 없게 만든다.

 

무엇보다 마흔이 되고, 쉰이 넘으면 지킬 것이 많아져 쉽게 삽을 들 수 없게 된다.

--한성희의 [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 중에서!!

▼▼

https://bitl.bz/9R9w5h

 

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10만 부 기념 스페셜 에디션)

 

deg.kr

자아분화가 구체적으로 가족, 나아가 대인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한 번 살펴봅시다.

 

가장 많이 나타나는 현상은 집착과 소유욕입니다. 서로에게 집착하고 서로를 소유하려고 하죠. 그러다 보니 서로를 옥죄고 조금이라도 자기 통제에서 벗어나려고 하면 견디질 못합니다.

 

상대를 제압하려고 하면 상대방 역시 공격적인 행동이나 지나치게 수동적인 행동으로 반응합니다. 상대방의 비난에 대해서 큰 과민반응을 보이죠.

 

자아분화가 높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으로 인해 짜증이 나거나 마음이 불편할 때 인내하고 감내합니다. 그러나 자아분화가 낮은 사람들은 즉각적이고 과도하게 반응해서 걸핏하면 신경질을 부립니다. 그리고 항상 상대방을 이겨야 하기 때문에 사과해야 할 때 사과하지 않습니다.

 

이러니 당연히 갈등이 증폭될 수밖에 없죠. 혹은 상대방에게 지나치게 간섭하거나 상대방의 의도를 자꾸 확인하려 합니다. 이것도 상대방을 통제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죠.

 

또 다른 특징이 질투인데요. 사랑의 반대가 질투라고들 하지만 질투는 관계 안에서 끊임없이 갈등과 긴장을 만듭니다. 질투라는 감정은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게 해서 편집증적이고 강박적인 불안과 두려움, 갈등을 야기하거든요.

 

주기적으로 한바탕 울부짖으며 소란을 피우기도 합니다. 무엇 하나 건수를 잡아서 결국엔 상대방에게 사과를 받아내거나 전전긍긍하게 만들죠. 이렇게 해서 자신의 존재감을 보이고자 하는 목적도 있습니다. 술이나 약물, 게임, 성욕에 의존해 중독되거나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않습니다.

 

그래서 상대방의 친밀한 관계들 역시 폐쇄적으로 만들고 그 관계를 제한합니다. 이뿐 아니라 상대방을 끊임없이 험담하고 비난하고, 나중엔 죽어버리겠다고 협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실 이 중에서도 제일 심각한 것이 바로 상대방을 경멸하는 태도입니다. 세계적인 부부상담사인 존 가트만(John Gottman)은 부부가 이혼으로 가는 지름길이 상대방을 경멸하는 태도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가트만은 부부가 상대방을 경멸하는 태도를 통해 앞으로 10년 후 이혼할지, 안 할지를 측정해 보았는데, 그 적중률이 90%가 넘었다고 합니다.

 

이 모든 행동의 바탕은 결국 낮은 자아분화라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최광현의 [관계의 심리학] 중에서!!

▼▼

https://bitl.bz/cV5Txo

 

[21세기북스] 사람이 힘겨운 당신을 위한 관계의 심리학

 

deg.kr

https://app.ac/lAMh31563

 

심리학이 이렇게 쓸모 있을 줄이야 - YES24

실생활 심리학으로 그와 그녀와 세상을 내 뜻대로 끌어오라심리학은 새로운 문을 열어 진정한 나 자신을 만나게 하고 발전시켜주는 열쇠다. 사회생활을 하는 데에서 감정적으로 안정과 균형감

www.yes24.com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 커미션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