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정원에서든, 다른 나무보다 더 많이 열매를 맺는 나무가 몇 그루 자라지, 안 그런가?” (정원사)

그게 도대체 무슨 말이죠?” (제라드)

 

아직 모르는 모양이군. 내가 지난 2년 동안 지역 대회에서 최고의 토마토상을 받았다는 걸 말이야. 최고의 토마토 상을 받는 방법은, 가지치기를 해주는 거야. 난 계속해서 열매 맺지 못하는 가지는 잘라주고, 나무 하나에 토마토 한 개만 남겨둔다네.” (정원사)

그래서요?” (제라드)

 

이것과 똑같은 법칙이 부와도 연결된다는 걸 알면 자네도 흥미가 생길 거야. 부를 얻은 사람들은 한 과실에만 자신의 강점, 에너지, 주의력을 쏟지. 자신의 순자산 말이야.” (정원사)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을까요?” (제라드)

 

열매가 열리지 않는 나뭇가지들은 쳐내고, 시간만 낭비하는 하찮고 일상적인 일들은 잘라내야지. 자네의 힘에 집중하게. 자네가 하는 일을 통제하고 싶다면, 에너지를 한 알의 토마토에만 쏟아야 할 거야.” (정원사)

 

인생에서 뭘 바라는지 정확히 결정하게, 그러니까 그것 없이는 살아갈 수 없는 게 뭔지를 말하는 거야. 그러고 나서 그 목적에 기꺼이 많은 시간을 들이기로 결심하는 거지. 자네 인생이 거기에 달려 있다는 듯 그 시간을 확보하려고 애쓰게 될 걸세.” (정원사)

 

본질주의는 한 가지 대상으로 시각을 좁히는 것이고, 단 하나의 과업에 에너지와 시간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려면 온갖 대부분의 일들에 아니오라고 말하고, 단 몇 가지의 일에만 라고 말해야 한다.

 

뭘 하지 않을지를 결정하는 게 뭘 하지 결정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라고 스티브 잡스는 말했다.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 마이클 포터 역시 이 말에 동의를 표한다.

전략의 기초는 무엇을 하지 않을지 선택하는 것이다.”

 

일상의 손아귀로부터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매일은 가치 있는 대의로 향하는 진보적인 나날이 될 수 있다.

 

워런 버핏은 말한다.

성공한 사람과 진짜성공한 사람의 차이는 바로, ‘진짜성공한 사람은 대부분의 모든 것들에 대해 아니오라고 말한다는 것이다.”

 

본질에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서는 주변의 불필요한 요소를 덜어내야만 한다. 목표를 고르고 온전히 그 목표에 집중하라.

 

--존 소포릭의 [부자의 언어] 중에서!!

▼▼

https://bitl.bz/W8xZzQ

 

부자의 언어 /어떻게 살아야 부자가 되는지 묻는 아들에게

 

deg.kr

▼▼

https://bitl.bz/pejw6W

 

타이탄의 도구들(블랙 에디션)

 

deg.kr

LIST

신중한 사람은 염소에게 자기 정원을 맡기지 않는다.” (헝가리 속담)

 

신중함은 이해타산을 합리적으로 고려하는 것이다. 규율이 없는 사람들은 비합리적으로 행동하게 된다.

현명하라, 그리고 천천히 하라. 빨리 달리면 이 두 가지가 흔들린다.” (by 셰익스피어)

 

조심성 없는 열정에 가득 차 시작한 기업들 모두 처음에는 어마어마한 활력을 가지고 일을 추진했을 것이다. 하지만 결국 무너졌다.” (by 타키투스/로마시대 역사가)

 

신중하지 못해서 벌어진 실수는 너무나 많다. 서둘러 결정했다가 오판하는 경우도 흔하다. 감정에 휘둘릴 수도 있고, 무모한 선택을 할 수도 있다.

 

자신이 가장 흥미를 느끼는 일에 대해 늘 오래도록 멈춰 서서 차분히 생각하고, 최악의 경우를 그려보아야 한다.

수백 번 조심스럽게 생각하는 것이 죽는 것보다 낫지 않은가.”라는 속담은 우리에게 지혜를 전한다.

 

행동하는 사람처럼 생각하고, 생각하는 사람처럼 행동하라.” (by 앙리 베르그송)

신중하게 생각하다 보면 객관적인 시선을 유지하게 된다.

 

--존 소포릭의 [부자의 언어] 중에서!!

▼▼

https://bitl.bz/W8xZzQ

 

부자의 언어 /어떻게 살아야 부자가 되는지 묻는 아들에게

 

deg.kr

▼▼

https://bitl.bz/pejw6W

 

타이탄의 도구들(블랙 에디션)

 

deg.kr

LIST

생각 산책은 마음을 자극하기 위해 발로 뛰는 행위다. 산책은 우리에게 홀로 있을 시간을 주고, 휘몰아치는 일들에서 우리를 떼어놓고, 혼돈으로부터 안식처를 제공해 마음이 높은 경지까지 오를 수 있게 해준다.

 

역사상 뛰어난 많은 사람들이 생각 산책의 긍정적인 결과를 언급했다.

다리가 움직이는 순간, 생각이 흐르기 시작한다.”라고 사상가 헨리 소로는 말했다.

진정으로 위대한 생각은 걸으면서 잉태된다. 어떤 생각이 걸으면서 떠오른 게 아니라면 절대 그것을 믿지 마라.”라고 프리드리히 니체도 말했다.

 

걷기는 생각으로 이어지는 최선의 활동 둥 하나다. 별로 애쓰지 않아도 해결책과 영감들이 내게 다가왔다. 나는 자연 속에서 내면의 지혜와 접촉하는 것을 느꼈다.

 

고대 로마 정치인 세네카도 말했다. “야외에서 걸어야 한다. 그래야 공기를 쐬고 깊이 숨을 들이쉬면서 마음이 풍성해지고 새로워진다.”

 

걷기가 생각에 필수적인 것은 아닐 수 있지만, 인생의 회오리와 소음들로부터 시간과 공간을 제공해주는 것은 확실하다. 걷기는 우리 삶을 생각하고, 평가하고, 전략화하는 시간을 준다.

 

나는 홀로 생각 속으로 걸어 들어간다. 그리고 그 어떤 짐스러운 생각에서도 빠져나올 수 있다는 걸 안다. 그저 계속 걷는다면, 모든 것이 제대로 될 것이다.”라고 키에르케고르는 말했다.

 

육체적 활동은 정신적 활동에 영향을 주며 몸을 움직일 때 영혼도 깨어난다. 고민거리가 있는가? 밖으로 나가 걸으며 생각해보라. 의외의 해결책이 문득 떠오를 것이다.

 

--존 소포릭의 [부자의 언어] 중에서!!

▼▼

https://bitl.bz/W8xZzQ

 

부자의 언어 /어떻게 살아야 부자가 되는지 묻는 아들에게

 

deg.kr

▼▼

https://bitl.bz/pejw6W

 

타이탄의 도구들(블랙 에디션)

 

deg.kr

LIST

경제적 자유를 추구하기 시작했을 때 나는 종이 한 장을 꺼내 특별한 목표를 쓰고 그 아래에 “~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를 쓰곤 했다. 그러고 나서 빈 종이를 응시하고, 아이디어가 떠오르기를 기다리며 마음으로 가능성들을 상상했다.

 

매일 목표에 관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다섯 개씩 적었다. 이 과정은 나에게 수많은 해결책을 안겨주었다. 실용적인 계획을 만들어내는 창조적인 전략가가 된 것 같았다. 우리는 모두 지략가가 되어야 한다.

 

물론 해결책은 나오게 되어 있다. 우리는 늘 자신이 생각하는 것을 얻는다. “~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라고 물음으로써 가장 창조적인 해결책들을 생각해낼 수 있다.

 

문제 해결과 지략은 삶과 일 모두에서 중대하다. 직장에서 큰 문제를 다루는 일을 맡았다면, 그건 당신이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혹시 매일 문제가 터진다고 절망하고 있진 않은가? 하나를 해결하면 또 다른 난제가 당신 앞에 나타나는가? 그렇다면 당신은 잘 살고 있는 것이다. 그만큼의 지력과 책임감을 지니고 있다는 뜻이니까.

 

매일 문제가 일어난다고 생각하는 건, 삶의 기쁨을 앗아가지 않는다. 오히려 일하는 동안 좋은 자세를 유지하게 해준다.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다면, 흔들리지 않는다. 성공이란 계속 문제를 현명하게 다루어나가는 사람들에게 있다.

 

작은 문제들로만 이루어진 삶에서는 작은 소득을 얻을 뿐이다. 인생이란 즐거운 선택들의 연속이 아니다. 힘과 결단력, 그리고 근면함을 요구하는 문제 해결의 연속이다.

 

--존 소포릭의 [부자의 언어] 중에서!!

▼▼

https://bitl.bz/W8xZzQ

 

부자의 언어 /어떻게 살아야 부자가 되는지 묻는 아들에게

 

deg.kr

▼▼

https://bitl.bz/pejw6W

 

타이탄의 도구들(블랙 에디션)

 

deg.kr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