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플라톤(고대 사상가)
(1)이원론적 세계관
-이데아(Idea)계 : 이성으로 인식하는 세계 / 원형(本) / 불변적
-현상계 : 경험 세계 / 원형의 모방 / 가변적
(2)생사관
-육체 : 영혼의 감옥
-영혼 : 이성을 통해 진리 인식
-죽음 : 육체(감옥)로부터 영혼이 해방되는 것
2.에피쿠로스(고대 헬레니즘 시대 사상)
(1)세계관
-원자론 수용
…원자들의 우연한 결합과 해체로 존재 * 소멸
… 우주 = 원자 + 허공
(2)윤리관
-경험적 결과
-쾌락주의(쾌락은 선, 고통은 악) ▷ 공리주의로 연결
-아타락시아(ataraxia) : 마음에 불안이 없고, 몸에 고통이 없는 상태
(3)생사관
-원자의 결합(삶) ▶ 해체(죽음) ▶ 육체 소멸 ▶ 감각기관의 해체 ▶ 경험할 수 없음
▶아무 것도 아님
-현자 ▶ 삶을 회피하지도 않고 죽음을 두려워하지도 않음 ▶ 영원불멸에 대한 염원을 갖고 있지 않음
3.실존주의(현대 사상)
(1)기본관심
-합리적 * 보편적 * 추상적 진리 탐구에 대한 한계 느낌
-구체적 * 특수적 * 개별적 실존 탐구
-인간 ▶ 다양한 가능성 직면 ▶ 선택 * 결단 * 책임 ▶자유로운 존재
-‘불안’이 인간 존재(실존)의 특성
(2)하이데거 : 대표 저서 [존재와 시간]
-실존
…‘기투존재’ ▶ 세상에 내던져진 존재 ▶ 절망(불안 * 자유롭지 못한 상황)
…‘세계_내_존재’ ▶ 인간, 관계, 사물, 상황 속에 주어져 있음 * 규정
…‘현존재’ ▶ 인간은 존재가 드러난 장소
-죽음
…‘죽음을 향한 존재’
…가능성 : 독자적 / 몰교섭적 / 뛰어넘을 수 없는 가능성
…불안 ▶ 실존의 심정성
-죽음으로의 선구 혹은 선구적 결단
…실존의 두 양식
a.비본래적(타인 지향성) - 관계 (잡담, 호기심)
b.본래적(자신의 고유한 가능성 중시)
…죽음에 앞당겨지는(직면하는) 선택 * 결단만이 실존을 회복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준다
…비본래적 실존에서 본래적 실존으로 변양하게 되는 계기를 만들어주는 것
(3)야스퍼스
-한계(극한) 상황
-불안을 회피하지 말고 극복해서 실존 회복의 계기로 삼도록 노력
-유신론적 실존주의
♣이데아(영혼이 진리를 인식함) ▶플라톤
♣죽음을 두려움의 대상으로 여기는 것은 잘못이다 ▶플라톤
♣죽음을 통해 인간의 쾌락과 고통의 감각이 소멸된다(경험X) ▶에피쿠로스
♣감각을 잃어버린 상태이므로 결코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에피쿠로스
♣죽음은 어느 누구도 피할 수 없는 가장 확실한 가능성이다 ▶하이데거
♣죽음을 자각함으로써 삶을 의미있고 가치있게 할 수 있다 ▶하이데거
♣죽음을 직시하여 주체적 삶을 살아야 한다 ▶하이데거
♣죽음에 대한 숙고가 있어야 현존재가 본래적으로 존재한다 ▶하이데거

'(공부)생활과 윤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수리와 갈까마귀와 목자 (7) | 2023.08.16 |
---|---|
신상 판매상! (8) | 2023.08.15 |
독수리와 여우 (26) | 2023.08.08 |
결혼과 가족, 친구, 이웃 간의 윤리 (0) | 2020.12.02 |
죽음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 생명 윤리 (0) | 2020.12.01 |
출생의 의미와 삶의 가치 1 (동양) (0) | 2020.02.29 |
현대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덕 윤리, 도덕 과학적 접근) (0) | 2020.02.28 |
현대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의무론 * 공리주의) (0) | 2020.02.27 |
현대 윤리 문제에 대한 접근(유교*불교*도교) (0) | 2020.02.24 |
윤리 * 윤리학 (0) | 2020.02.23 |